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Qt Layout
- 감정수업
- 유니파이드 셰이더
- 요한 성당
- CallBack
- Windows Mobile Device Center
- CPU와 GPU의 차이
- 율동 공원
- 모바일 세미나
- c# Monitor.Enter
- 윈도우 모바일 프로그래밍
- thread-unsafe
- 하버드 감정수업
- Deep state
- The Giver 줄거리
- c# lock
- 윈도우즈 7 ActiveSync
- c# Monitor.Exit
- libsndfie
- A Long walk to Water
- Salva Dut
- libusb
- PhoneIncomingCall
- 영어 원서
- c# static
- 남수단
- alsa-lib
- overroad
- 자기계발 서적
- 영어 원서 추천
- Today
- Total
저 하늘의 구름처럼~
LN2440SBC 보드 커널 2.4 버전에서 USB MOUNT 하기. 보드에 usb를 인식시키면, 장치명이 뜨는데.. 그것으로 마운트하면 됨. host0 혹은 host1로 인식됨. mount /dev/scsi/host0/bus0/target0/lun0/part1 /mnt/ide 커널 2.6 USB MOUNT 하기 mount -t vfat /dev/sda1 /mnt/xxx sd 카드 마운트 하기 mount -t vfat /dev/mmcblk0pl /mnt/xxx
과제를 하면서 스파이를 돌려보고나서야 알게된 사실이 있다. 만약 윈도우가 최대라면, 비클라이언트 영역인 타이틀 바를 클릭할 경우, WM_NCLBUTTONDWON후 WM_NCLBUTTONUP이벤트가 발생하지만, 윈도우의 크기가 최대가 아닌경우, WM_NCLBUTTONDOWN 이벤트 발생후 NC계열 메시지가 아닌 WM_LBUTTONUP 이벤트가 발생한다.
void CTestButtonDlg::OnLButtonDown(UINT nFlags, CPoint point) { DefWindowProc(WM_NCLBUTTONDOWN, HTCAPTION, MAKELPARAM(point.x, point.y)); } 간단하게 DefWindowProc로 처리하여 주면된다. 원래 캡션바 영역에는 WM_NCLBUTTONDOWN 이벤트가 발생하고, 그외의 영역에서는 WM_LBUTTONDOWN 이벤트가 발생하는데, 일반적인 영역에서도 WM_NCBUTTONDOWN이벤트가 일어나는 것으로 바꾸게 되면, 윈도우의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.